본문 바로가기
알면 쓸모있는 건강상식

수면무호흡증 자는 동안 우리 몸이 위험하다.

by sokuri87 2023. 1. 26.
반응형

주변에 코골이로 고생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저도 친구들이랑 놀러 갈 때면 가끔 코골이가 심한 친구를 볼 때가 있습니다. 물론 실컷 놀고 술도 엄청 마시고 하니깐 피곤해서 코를 고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코골이를 하는 것까진 좋은데 가끔은 친구가 자면서 호흡을 안 해서 당황한 적이 있었는데요, 코골이 때문에 시끄러워서 잠을 못 자다가 호흡을 안 하는 걸 보고 제가 막 흔들어서 깨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보통 수면을 하면서 호흡을 안 하는 증상을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가벼이 여길 질병이 아닙니다. 수면 중에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되면 산소가 우리 몸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텐데요 체내에 산소가 줄어들어 잘못하면 뇌까지 영향을 줘 뇌졸중과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고도 합니다. 이 무서운 수면무호흡증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겠습니다.


 

Kampus Production님의 사진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중에 기도가 막혀서 호흡을 할 수 없어서 숨이 멈추거나 기도가 좁아져서 시끄러운 소리가 나타나서 뇌가 반복적으로 깨어나고 이로 인해서 산소농도가 떨어지는 수면장애입니다. 기도는 딱딱한 연골로 구성되어 있어서 깨어있거나 잠은 자더라도 기도의 공간이 좁아지지 않습니다. 문제는 혀입니다. 혀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혀가 늘어져서 우리의 기도를 막습니다. 따라서 수면무호흡증은 혀가 늘어져서 혀뒤에 기도 공간이 막히면서 발생합니다. 

 

 

수면무호흡증에 증상

습관적인 코골이가 있는 분의 대부분은 수면무호흡증상을 동반하게 됩니다. 우리는 자다가 숨이 막혀서 반복적으로 잠을 깨게 되는데 이렇기 때문에 잠을 깊게 자지 못하고 수면의 질이 좋지 못하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낮에 졸음이 심하게 오고 오랜 시간 잠을 자도 몸이 개운하지 않고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수면무호흡증은 우리 몸에 산소농도를 떨어트려 교감신경에 문제를 일으켜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심장마비,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 질환 발생률을 2배에서 5배까지 올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수면무호흡증이 있다면 수면의 질을 높이고 심장과 뇌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간단한 수면무호흡증 자가진단법

혀와 목젖을 보고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저도 이 방법은 엄지의 제왕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본 방법입니다. 방법은 이렇습니다. 혀를 쭉 내밀어준 뒤 내 목젖을 살펴보는 방법인데요, 목젖이 다 보이거나 목젖 끝이 혀끝 부분에 닿아서 보인다면 정상이고 목젖이 거의 안보이거나 아예 안 보인다면 수면무호흡증이나 수면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혀가 작고 날씬해서 앞으로 나오면 목젖이 보이고 혀가 크고 무겁고 뒤로 가있으면 목젖이 안보이겠죠. 이것은 비만과도 연관이 있는데요,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혀도 살이 찐 만큼 커진다고 합니다. 혀가 커지고 무거워지면 자는 동안 무게 때문에 늘어져서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합니다. 

 

치료방법

 

전문적인 치료방법

병원에서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치료는 비수술 치료방법과 수술로 치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방법으로는 양압기를 사용하여 수면 중 공기를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해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며 그 밖에 구강 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술 치료방법은 비강수술, 인두부수술, 설부 축소수, 두경부 골격수술등이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 개선습관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 개선습관은 수면무호흡증에 예방과 수면무호흡증이 경미한 사람에게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이 심할 경우 반드시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옆으로 자기

잠을 옆으로 자게 되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2배 이상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뇌가 깨어있을 때는 혀가 앞으로 전진되어 있지만 뇌가 잠이 들면 혀의 긴장이 풀어져 혀가 뒤로 늘어져 기도를 막을 수 있는데 옆으로 누워서 자게 되면 혀가 밑으로 쳐지는 효과를 가져와 기도를 막지 않게 되면서 기도가 넓어져 우리가 호흡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하지만 옆으로만 자는 게 쉽지 않은데 죽부인을 끼고 옆으로 누워 자게 되면 바로 눕게 되는 것을 막아주는데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알코올 피하기

수면무호흡증이나 코골이가 심하신 분은 술을 피하셔야 합니다. 코골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도 술을 마시게 되면 코를 골게 된다고 합니다. 술을 마시게 되면 혀가 쉽게 늘어져서 기도를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체중감량

비만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살이 쪄서 기도에 혀 지방과 같은 연조직이 너무 많으면 기도의 폐쇄를 발생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운동의 강도와 상관없이 어떠한 운동을 하더라도 규칙적으로 하게 되면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구강운동

구강운동법은 혀와 기도의 근육과 안면근육의 훈련을 통해서 근육을 강화시켜 자더라도 기도가 좁아지지 않고 혀가 늘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구강운동의 방법은 이렇습니다.

①혀 끝을 입천장 앞쪽에 댄 후 입천장 뒤쪽을 향해 쓸어내린다 ②혓바닥 전체를 입천장에 대고 누른다 ③혀 끝을 아래 앞니에 댄 후 혀의 뒷부분에 힘을 준다 ④목젖이 있는 부분을 위로 들어 올린다는 느낌으로 입을 크게 벌린다 ⑤검지손가락을 입에 넣어 볼이 튀어나오도록 누른다 ⑥음식을 양쪽 치아를 모두 이용해 씹고, 삼킬 때는 혀와 입천장을 모두 사용한다.

 

가습기

건조한 공기는 수면무호흡증을 악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건조한 공기는 코와 혀의 점막을 마르게 해서 기도가 쉽게 막힐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호흡하는 공기가 건조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것이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합병증을 발생시킬 수 있어 조기에 치료를 해야 합니다. 증상이 경미하다면 위에 습관을 지켜 예방과 개선을 시키고, 증상이 심할 때는 병원에 가서 정밀검사를 통한 치료를 권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