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얼마나 방귀를 배출하고 계신가요? 성인 기준 하루에 방귀를 배출하는 양은 0.5-1L라고 합니다. 방귀는 우리 몸이 소화를 통해 나오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입니다. 주변에서 방귀를 매우 많이 배출하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또는 방귀냄새가 아주 지독한 사람도 볼 수 있습니다. 방귀냄새가 지독한 사람한테 우리는 장이 썩었냐고도 물어봅니다. 잦은방귀 배출과 지독한 냄새가 나는 사람은 내 몸에 이상신호가 있을까 걱정을 많이 하십니다. 물론 주위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겠고요.
잦은방귀의 배출과 방귀의 지독한 냄새는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오늘은 왜 우리 몸속에 가스가 많이 차고 배출된 가스가 왜 냄새가 심할까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방귀?
방귀는 항문으로부터 방출된 가스입니다.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가 장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와 혼합된 것입니다. 장 내발효에 의한 가스는 주로 탄수화물의 이상발효로 큰 소리를 동반하는 방귀의 원인이 되지만, 냄새는 그다지 고약하지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단백질의 이상분해로 인한 방귀는 냄새가 지독하다고 합니다.
잦은방귀 원인은?
방귀의 양은 입을 통해 위로 들어간 공기의 양과 비례한다고 합니다. 평소에 한숨을 많이 쉬시는 분, 껌을 오래 씹으시는 분, 음식을 급하게 드시는 분들의 특징은 상당한량의 공기를 들이마시는 게 공통점인데요, 앞에서 말했듯이 가스가 많이 차시는 분들은 많은 양의 공기를 들이마셔서 장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와 혼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배가 가스로 빵빵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음식을 섭취 후에 바로 누우시는 분도 가스가 많이 생긴다고 하는데요, 음식을 섭취 후 바로 눕게 되면 음식의 소화흡수가 늦어져 장안에서 음식이 오래 머물게 돼서 가스가 훨씬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나 수험생 같은 경우에는 밥을 먹고 바로 앉아서 공부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들이 장에 가스를 많이 만드는 행동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또한 수분섭취를 잘 안 하시는 분도 장운동이 원활하지 않아 져서 변비와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가스가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장운동 같은 경우에는 스트레스나 여성들의 경우 호르몬에도 영향을 받아 가스가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독한 방귀냄새 원인은?
지독한 방귀냄새 때문에 주변사람들이 고통받지 않으시나요? 지독한 방귀냄새는 소화기관의 문제보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이 문제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방귀냄새는 장에서 남은 음식찌꺼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가스로 결정이 되는데요, 첫 번째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 중에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면 방귀냄새가 지독해진다고 합니다. 고기, 계란, 유제품 등 단백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들을 드시게 된다면 방귀냄새가 지독해진다고 합니다. 우리가 다이어트 때 닭가슴살이나 계란 같은 고단백질 음식만 많이 드시잖아요. 그때 방귀냄새가 지독했던 건 이런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두 번째 과식을 하시는 분들입니다. 과식을 하게 되면 우리 몸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하고 대장까지 내려가서 음식물 찌꺼기로 많이 쌓이게 되고 그 찌꺼기에서 나오는 가스가 썩어서 방귀냄새가 더 지독 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소화기관이 약하신 분이 소화가 안 되는 음식을 드시면 어떨까요? 당연히 분해가 잘 안 돼서 음식물 찌꺼기는 더 쌓이게 되고 방귀냄새는 더 독해 질 것입니다. 세 번째 변비가 있다던지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으신 분들입니다. 변비가 있으신 분은 장에 대변이 쌓여있게 되는 분인데 방귀를 배출할 때 쌓여있던 대변의 냄새와 섞여 나와 냄새가 지독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스가 자주 차는 증상과 지독한 방귀냄새가 병은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이 불편해진다면 우리의 식습관을 체크해 보시고 교정해야 합니다. 식습관을 교정했는데도 가스가 자주 차는 증상과 냄새가 지독한 경우에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가서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알면 쓸모있는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염에 좋은 까마중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3.01.29 |
---|---|
마카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3.01.28 |
수면무호흡증 자는 동안 우리 몸이 위험하다. (0) | 2023.01.26 |
내장지방을 녹이는 습관 (2) | 2023.01.25 |
면역력을 높이는 습관 (0) | 2023.01.24 |
댓글